다문화시대 다양성이 존중되는 제주만들기
13. “이주민 자녀 인재로…대만 정책 활용”
제주 다문화 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문화 수용성 지수가 높은 해외 정책을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대만은 역사적으로 교육과 외침 등을 통해 외지의 다양한 민족이 끊임없이 유입돼 이뤄진 이민국가다. 1980년대부터 중국 대륙과 동남아 출신 결혼이민자의 유입 증가로 ‘신주민’이라 불리기도 한다.
대만의 결혼이민자 다문화정책 초기에는 결혼이민자의 국내 생활 적응에 초점을 뒀지만 점차 결혼이민자 가정의 2세대를 위한 교육지원과 양방향 교류와 이해에 중점을 둔 다문화 존중의 방향으로 정책 전환이 이뤄졌다. 전국 신주민횃불계획은 이러한 흐름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정책 활동이다. 초등학교라는 공공재를 통해 신주민과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열린 교육과 개방된 교류를 위한 인적, 물적, 공간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대만 교육부는 2019년부터 본토어와 중국어, 영어 외 베트남어, 캄보이디아어, 인도네시아어, 말레이시아어, 미얀마어, 필리핀어, 태국어 등 7개 언어를 대만 공립 교과과정에 포함시켜 이주민 자녀를 대상으로 모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추후 이들 이주민 자녀를 동남아 대상으로 한 신남향 정책에 선봉으로 만든다는 계획으로, 일반 대만인 자녀는 본토어와 동남아어 중 하나를 필수선택 과목으로 하고, 동남아 이주민 자녀들에게는 반드시 자신의 모국어를 습득하도록 교과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대만 정부는 동남아어 교과과정 편입에 앞서 교사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이주여성을 위주로 교사 전문 양성교육을 통해 현장에 투입하는 등 취업효과도 얻고 있다.
김정림 다문화가정제주특별자치도협회 제주글로벌센터 사무처장은 다문화 청소년 교육뿐만 아니라 부모교육, 가족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정림 사무처장은 “미래교육에서 필수적인 디지털 교육시대에 교육매체와 자료가 넘쳐나지만 다문화가정들은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지 못하다”며 “어플을 다운받는 것부터 회원가입을 하는 절차가 다문화 가정의 학부모가 이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이를 고려한 대응책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김 처장은 “한국사회에 동화되기보다는 외국인 부모가 본국 문화와 가치를 보유하고 가족 내에서 교육해 이를 자녀들에게 전수시켜야 한다”며 “외국인 부모와 자녀 간 동일한 문화적 가치와 가족적 가치를 보유할수록 유용한 측면이 많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