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형 자원봉사활동 ④ 민관거버넌스협의체 제주도지속가능발전협의회
지역구성원 간 상호협력 통해 다양한 실천 사업 추진 ‘관심’
협의회의 ‘믿고 듣는 환경 교육’ 정평…환경 인형극도 실시
예사롭지 않았다. 사무실 바깥엔 태양광 발전 패널이 전기를 생산하고 있고, 풍차가 돌아가고 있었다. 그 아래엔 ‘지금 바람이 에너지를 만들고 있어요’라는 안내판이 붙어 있었다. 지속가능한 제주를 위한 민간거버넌스인 ‘제주도지속가능발전협의회’의 첫인상이었다. 정연옥 제주도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처장은 “환경부가 지속가능발전협의회를 만들었기 때문에 세간에서는 환경과 관련된 일만 한다고 알고 있지만, 5개 분과에서 민간이 환경보호 활동을 하도록 중간다리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제주지속가능발전협의회는 1998년 7월 ‘제주시민단체협의회’가 개최한 ‘지방의제 21 수립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지방의제21 수립을 공식적으로 제안하고 ‘영원히 푸른 섬, 제주’를 비전으로 설정해 1998년 10월 13일 수립됐다.
지속가능발전협의회는 지역주민, 기업, 환경・시민단체, 행정 등 지역구성원 간 상호 협력을 통해 지속가능한 제주 사회 발전을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실천 사업을 추진하는 민관 협력 기구다. 주로 제주도민과 함께하는 탄소중립 실천 홍보・캠페인, 온실가스 진단 컨설팅, 기후변화 교육 등을 진행한다.
지속가능발전협의회는 △자연환경분과에서 환경지킴이 실천 사업과 지속가능한 제주 환경 전문가 양성교육 사업을 하고 있다. △사회환경 분과에서는 늘푸름이 환경동아리 지원 사업, 탄소중립 네트워크 사업을 추진하고 △경제환경 분과에서는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해 주말농장 생명 텃밭 사업, 자원순환 빗물활용 사업을, △여성・생활 환경분과는 지속가능한 자원순환 문화운동 사업, 전국성평등 의제 네트워크 사업을, △환경정책 분과는 지속가능발전기본법 제정에 따른 전략과 방향 사업을 펼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2g의 기적’ 활동으로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회장상을 받기도 했다. 2g의 기적은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 상급학교에 진학하지 못하는 몽골 학생들에게 교복을 마련해주기 위해 시작됐다. 플라스틱 병뚜껑 1개가 2g이라는 것에 착안, 누군가에게 희망을 전달할 수 있다는 취지로 2022년 현재 5년째 이어오고 있다.
제주도개발공사가 추진한 사회환원사업과 연계해 첫해인 2018년에는 몽골 학생 10명에게 교복을, 2~3년 차에는 도내 소외계층 20명, 4년 차에는 30명을 지원했다. 5년 차인 2022년에는 40명까지 지원을 확대했다.
정연옥 사무처장은 “올해 받은 상금 50만원을 받아서 고생한 직원들에게 보너스로 주려고 했는데, 직원들이 흔쾌히 몽골에 보내는 것에 동의해 몽골학생들에게 기부했다”고 말했다. 전국지속가능발전대상은 지속가능 발전 사례를 발굴하고 공유하기 위해 환경부가 마련했다.
지속가능발전협의회는 공공기관, 단체에서 환경보호, 탄소중립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어린이 교육사업 250회를 진행했다. 교사 10명이 모여서 3개월간 교안을 직접 짜는 등 열정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이 바닥에서는 ‘믿고 듣는 환경 교육’이라고 정평이 나 있다. 올해는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환경인형극을 스무 차례 공연했다.
정 사무처장은 “지속가능협의회가 민간거버넌스 조직이기 때문에 소속된 단체들이 열심히 일한다”며 “거버넌스 사업을 굉장히 잘하는 곳으로 전국에서도 소문이 나 있을 정도”라고 자부했다.
정 사무처장은 지속가능발전협의회의 활동이 ‘환경보호’와 관련돼 있어 ‘구체적인 성과’가 나오지 않아 어려울 때도 있다고 했다. 관계 당국 또는 부서와 회의를 할 때 일회용품이나 플라스틱병을 문제의식 없이 내놓을 때가 대표적인 사례다. 그러나 지속가능발전협의회는 민간영역에서 조금씩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에 보람을 느낀다.
정 사무처장은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시민들의 노력이 눈에 보이면 좋겠는데 그렇지 않아 힘이 빠질 때가 더러 있고 ‘총체적 난국’이라는 느낌을 받을 때가 있다”며 “그런데도 생활 속에서 조금씩 환경을 위한 시민들의 의식과 행동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볼 때면 뿌듯하고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지속가능발전협의회가 민간과 행정 당국의 다리 역할을 하고 있지만 행정당국에 바라는 점도 있다. 정 사무처장은 “시민사회에서 행정당국에 제안하면 정책에 잘 반영하고, 민간과 행정의 접목점을 찾았으면 좋겠다”며 “지금과 같은 모습으론 카본프리아일랜드(탄소 없는 섬)을 만들겠다는 제주도의 목표가 구호로 그칠 것 같다. 그래서 도민들과 함께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