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가 수소트램에 대한 정부 승인이 없는 상태에서 2026년 예산안에 홍보비와 사례조사비를 편성, 제주도의회에서 성급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제주도는 지난 6월 20일 제1차 제주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안)에 대한 도민 공청회를 개최한 자리에서 제주항~동문시장~제주공항~연동사거리~노형오거리~1100로를 연결하는 12.91㎞ 구간을 제시한 바 있다. 총사업비를 5293억원으로 추정하는 가운데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 후 국비 60%를 확보,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빨라야 2032년 전후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수소트램에 대해 제주도는 2026년 예산안에 사례조사비와 도민공감대 형성 홍보 비용 등으로 9500만원을 편성했다.
제주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가 지난 20일 제주도 교통항공국을 대상으로 내년도 예산안을 심사하는 자리에서 김황국 의원(국민의힘, 제주시 용담1동·용담2동)은 “트램은 장단점이 있고 도민들도 찬반 의견이 있는데 일방적으로 장점만을 홍보하면 안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기초자치단체 부활과 관련한 대대적인 홍보와 오버랩된다”고 꼬집었다.
한동수 의원(더불어민주당, 제주시 이도2동을)도 “수소트램 도입은 2032년 전후인데 지금 홍보예산이 필요한지 의문”이라며 일방적 장점 홍보가 아닌 공정한 정보 제공을 강조했다.
사실 홍보예산도 문제이지만 근본적으로는 용역기관인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제시한 하루 수송수요 5만3841명(2025년 기준)는 더욱 미덥지 못하다.
제주도와 용역기관은 수소 트램 도입에 따른 정치적·행정적 책임뿐만 아니라 재정적 책임까지 영원히 진다는 책임감 아래 사업을 추진하기 바란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