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자연사박물관, 28일 ‘식민의 시선’ 연계 학술세미나
전문가 발표와 특별세션으로 여성 독립운동 집중 조명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관장 박찬식)은 오는 28일 오후 1시 30분 박물관 시청각실에서 ‘일제강점기 사진엽서로 읽는 지역의 기억’ 학술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일제강점기 제주, 대구, 부산, 인천 등 주요 지역에서 제작된 사진엽서를 학술적으로 분석해 근대 시기 지역 이미지의 형성과 시각적 재현 양상을 고찰하는 자리다.
세미나는 박물관 제155회 특별전 ‘식민의 시선, 제주 풍경’과 연계해 개최한다. 특별전은 2026년 1월 25일까지 이어진다.
사진엽서는 근대 시기 제국주의 시각문화 정책과 지역의 사회·경제·문화적 특징이 집약된 자료다. 최근 지역사 연구와 전시 기획에서 그 사료적 가치가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두 개의 세션과 특별세션으로 구성돼 제주기록문화연구소, 대구근대역사관, 부산근현대역사관, 인천대 지역인문정보융합연구소 등 각 지역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1부에서는 고영자 제주기록문화연구소장이 ‘일제강점기 사진엽서로 본 제주 문화 엿보기’를 주제로 제주 근대 이미지 형성과 문화적 맥락을 소개한다. 대구근대역사관 황수진 연구사는 대구 지역 사진엽서 아카이브 구축 및 활용 사례를 발표한다.
2부에선 부산근현대역사관 김기용 관장이 부산의 사진엽서로 일제강점기 도시·사회 변동상을 조명한다. 인천대 문순희 연구원은 인천의 명소와 관광문화를 사진엽서와 안내서를 통해 분석한다.
특별세션에서는 고려학술문화재단 박환 이사장이 ‘제주 해녀 출신 백곤차, 멕시코 한인독립운동 참여’를 주제로 제주 여성의 이주와 독립운동 서사를 발표할 예정이다.
박찬식 관장은 “이번 세미나는 일제강점기 각 지역의 이미지 형성 과정과 변용을 비교사적 시각에서 조명하는 소중한 자리”라며 “향후 지역별 시각자료 아카이브 구축, 전시·교육 콘텐츠 개발, 그리고 근대 지방사 연구와 지역 교류 확대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우종희 기자

